프로그램명 연안습지의 지리적 특성 및 유형 생태계 역할 일 시 2008.8.23(토) 장 소 순천만 생태교육관 진 행 강 사 백용해(녹색습지교육원) 메 모 자 산꾼경산(김 희 일) 교육 대상인원 6기생 전체 ●교육내용-이 기록은 정리한 기록이 아니고 현장 교육에서 분주하게 메모하여 비망록 형식으로 옮겨두었기에 오자 탈자 등 오류가 많을것으로 간주하여 혹시 정정 사항 주시면 더욱 고맙겠음 <이어지는 순서대로 메모함> *순천만 설명-심순섭 :10월-12월 각종축제 160여국에서 전년도 180만 관광객 다녀감 인터넷 신청자만 입장 *제1강<생태학 기초특강>-백용해 녹색 습지교육원(www.wetlandkorea.org) .분류학의 기초분류-척추동물문과 무척추 동물문 .염생 식물:바닷가에 서식하는 식물 .고산지대 꽃이 저지대의 꽃보다 크다-이유:곤충이 적어 유인하기 위하여 .밤꽃은 꽃이길고 안쪽에 암술이 꿀보유-바람에견디기 위한 생존전략 수정후에 모두떨어짐 .곤충 밝은색-주행성 어두운색-야행성 .말매미-땅속에서 유충은땅속에서5년살다가 큰매미로 성장하여 1주일생존 .개미귀신-지하에서살다가 잠자리로 변신 .부채장수잠자리-하루모기 300마리 잡아먹음 .아토피 없는아이 비율 -10%정도-환경에서 초래 .살모사 독있고 유혈목이(꽃뱀)는 강력한용혈독이지만 어른은 어금니여서 영향 덜받지만 어린이에는 치명적임 .새(펠리칸)-15리터물 흡수하여 먹이만 남기고 배출 ...갈매기-머리가우수- 특별한 능력이 없는-GENERALIST + α(머리지능)-집집마다 요리 시간까지 기억 .인간은 만물의 영장이 아님-공룡 1억년에 비해 인간은 백만년 역사임 .독수리는 대머리 -대머리 독(禿) 머리 수(首) 맹수 리(璃)-독수리 생존전략-머리털 없는것:해충들이 햇빛과 바람에 날려가도록 .복어는몸이 왜 부풀까?-입이 작아 먹이찾기어려워 바람을 머금어 품어내면서 작은돌을 엎어 먹이챙김 .물고기 세로와 가로가 반대임-등뼈따라 길이를 세로로 봄 *제2강 <갯벌 생태계의이해> .갯벌과 개펄의 구별 -개펄은 개뻘로 -Mud 이고 갯벌이 맞는표현 갯벌종류-펄갯벌,모래갯벌,혼합갯벌-먹이 환경 다르면 종이다름 .우리나라 세계5대 갯벌소유(1.독일2.캐나다3.미국4.브라질) .갯벌생성조건 ⓵강.하천 ⓶완만한경사 ⓷리아스식해안 ⓸조수간만의 차(저조차2m이하-중조차2-4m 고조차4m이상) .해양에너지가 약해지면서 염습지가 생성(염습지는 원형으로발달) .갯벌의 기능 ⓵자연의 정화조 -1994년 갯벌은 살아있다 관심시작-하수종말 처리는 한계가 잇어 3소화조 이후에도 40%만 처리되므로 해수를 올려 200:1로 희석함 .유기물 -미생물먹이 18도 이상 되면 적조현상 ⓶식품의 저장창고 ⓷자연재해 완충지-우리나라 2km 오면서 약해짐-인도네시아 스나미는500m였음 ⓸철새의 천식지-철새는 새끼번식. 먹이찾기 이유로 날아 옴 ⓹지구의허파-염생식물 .갯벌의 대표-낙지 (100가지요리가능)머리가 우수함-몸을 10배줄여 빠져나감-미국은 혐오물로여김 .바위-돌-자갈-모래-흙-고운흙-진흙-Mud .5대강-한강(481.7km)금강(401km)만경강(93km)동진강(44km)영산강(115km)-모두가 막혀잇음 .뱀장어 산란환경 막음-필리핀 심해(해저10000m)에서 짝짓기하고 연안을 통하여 강으로 오름 .저서생물(갯벌)20cm에서 80%가 서식함 .계화도 간척-정치논리-박정희 인기획득 정치자금조달 목적
.인천 영종도개발 -참갯지렁이 일본수출 중단 .김포대교(신곡수중보)-88올림픽 전두환의 명령으로조성 .시화호-수문열어 소통 .화옹호 -아산호-삽교호-석문방조제-금강하구둑-천수만-새만금-환경 파괴주범(곰소항은 곧 모래로 변할것임) .갯벌분포-상부:계 서식 중부:지렁이 하부:조개(물고기 80%가 하부에 산란함) .연안습지-수심6m 주장(람사) .연흔-갯벌의 골짜기-육지와나란히 발달 .게의 영역지정-발높이로 -밤게는 앞으로만 전진- 우리나라 200종서식-조개 몸속에서사는 속살이게는 성냥 알보다 작음 -암놈이 크다(왜웅현상) .현장 강의는 사진 밑에 대략 메모해둠 .끝으로-이메모는 정리가 아니고 비망록임을 다시한번 강조함 | ||||||||||||||||||
●소감*밟고 지나쳤던 갯벌에 소중함을 가슴으로 느낀계기였고 새로운 삶의 좌표가 생김 |
<사진은 클릭하면 선명하여짐>
생태관 현장에 도착하여
이정표를 보니 멀지 않네요
교육관 안에 조형물
갯벌의 식물 설명판
갈대군락의 설명판-설명판에서 오류난곳-홍수조절은 오히려.... 홍수조장으로 고침이 .....
갈대가 자란 이유-긴 갈대 줄기가 유기물을 많이 필요로 하므로 -게와 공생관계-게는 파고들어 살고 숨고- 갈대는 파논 구멍으로 뿌리가 뻗고- 아마 산소공급도 도울것임
드디어 일반인 통제구역으로 들어가면서 교육은 시작됨
멀리 고흥 팔영산이 지평선 끝으로 넘어다 보인 그 아래로 갈대군락이 ...
반대편으로 호남정맥 마지막자락 광양 백운산능선 쪽에 디카를 잡아봄
방게(밤게가아님) 몇마리 잡았네요 좀 보여줘 나중에 살려줄께 ..방게 생식기 2개 연체동물 거의 동일 -종의보존위해
게몸구역-4구역 임꽃게는-5구역(아가미좌,우,심장,장,위:게의껍질 굳어지기위하여 은둔생활에필요한먹이저장)게다리-5쌍 ,7개마디,달랑게-시속25km태양에따라몸변색 펠릿은모래,속살이게-조개에공생배설물처리 ,방게돌기-16~17개 ,수동방게-9~13개,갈게숫컷-40~43개 암컷-30개 ,게배감안속의털-알을 인큐베이팅 ,세스랑게-2cm,소라=피뿔고둥 ,순천만 갈대밭 우점종=붉은 사각게
-배다리 역할 -몸박으로 나온 알을 품어주는것 -다리가 마디에서 회손되면 막을형성하면서 다시 생성됨-
갈대의 끝이 갈라지는이유는-게가 먹어치워서 -남방계 방게는 멸종위기
말뚝망둥어가 눈이 밝으면 보여요 -안보이면 -빌어대면 보임-
-고둥과 집게는 천적관계-끝까지 껍질을 갉아서 해침 -
-소라는 -안먹히기위해 석회질 뚜껑을 소유함
방게가 속에서 포즈를 보일랑 말랑 하네요
이놈은 노출하여 폼 잡아주네요
농게-붉은 다리큰것하나소유-다리 긴놈이 -우수한놈-암컷은 붉은 다리가 작음
게거품은 -긴장 .스트레스-강해지면 -검은물 추후에는-사망
붉은발 사각게(2다리가 같음) -농게와 구별 -기타 앞으로만 걷는 밤게와-식용으로많이하는 무늬발게-민물속에서도 사는 도둑게-등등 많은설명으로 매듭함
나오다가 뚝방에서 비수리(야관문)을 한장 선물합니다
비수리(야관문)는---동양 비아그라로 정평이 돌고있어 욕심 낸사람이 많아 진다고 전합니다 ....잘 말려서 잘게 잘라서 강한 소주에 담궈서 100일만에 건져서 시음 하고 난뒤 댓글 부탁합니다.....어차피 죽어가야할 가을에 채취함에 유의할것....
'숲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곤충특징 및 서식환경- 생태공원 모니터링 (0) | 2008.09.07 |
---|---|
야생동물의 특징 및 서식환경 (0) | 2008.08.30 |
목본식물-무등산 원효사 (0) | 2008.08.11 |
초본식물-무등산장 (0) | 2008.08.11 |
숲으로의초대 (0) | 2008.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