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명 |
야생동물의 특징 및 서식환경 | ||
일 시 |
2008.08.30(토)맑음 |
장 소 |
국립공원 남부사무소 (구례) |
진 행 강 사 |
정상욱(국립공원 북부사무소) |
메 모 자 |
김 희 일(산꾼경산) |
교육 대상인원 |
6기전체 | ||
●교육내용-정리가 아니고 메모형식으로 비망록 목적임 *포유동물-100여종 *스라소니-중간개정도크기, 보이기시작 한것이- 20~30년-저녁에 흙 뿌린다. *동물-식물을 제외한 모든 것-조류, 파충류, 양서류, 곤충, 포유동물(난성과태성-공통점=젓먹임) *해마-숫컷임신, 암컷 젓먹임 *파충류(알을 땅에-거북이.악어)와 양서류(알을 물에-개구리) 차이 *포유동물 발자국 1.척행성(뒤에서부터)-곰,오소리 2.지행성(앞에서부터)호랑이,고양이,늑대(발 4개) 3.제행성(발가락1개로)-소,사슴,노루-말(U-하나)과,소(2가닥)의차이 *자연에서 동물의 역할 1.핵심종-수달-균형유지-환경지표종-상위가 무너지면 다 무너진다(수달-피라미-작은물고기-수초-프랑크톤) 2.깃대종-정2품소나무 살리기위하여 주위를 살린다 3.지표종-꼬리체제 3급수종-피라미, 물두꺼비, 도룡농 등 *자연에서의 청소부 1.아프리카-하이애나 2.한국-너구리(똥-고무장갑,김밥용은박지나옴) 3.조류청소-독수리,갈매기,힌꼬리수리 4,땅속청소-지렁이(땅위로올린-배설물),두더지(공기유통,미생물번식-지렁이를 이빨로 살짝물어 죽여서 벽에 보관 저장했다가 먹음-굴착은 헤엄치듯양쪽으로 -구멍에 거미줄이면 폐굴-물에서는 수영도 잘함) *숲을 키우는것-곤충,바람,물,포유동물,조류등-다람쥐:도토리말리면 썩으니까 땅속에 넣는다 다 못찾아 먹음. 오소리 배설물쌓기;영역표시- 오소리는 겨울옷 갈아입고 다람쥐는 안 갈아입음. *고목도 필요-버섯, 하늘다람쥐 안락처(천적피해 나무위에서 배설), 크낙새 서식처-죽은나무없애고 복원 해주는데 100억소요 *자연을교란시킨 사람의행동-뉴트리아(아르헨티나수달-식용쥐:정력제활용,모피목적-습지식물 회손 건지화)붉은 귀거북,배스(겨울에잠도 안자고먹어치움),블루길,황소개구리 *고양이는 없애고 삯은 보호 -종이아니면 잡종 번식 않는다 *개구리-말라죽음-구더기없음-자연마이신-모든 동물먹이로 이용 *멧돼지-수컷-송곳니보임-6~8마리새끼-농가내려오는것=먹이가 아니고 살기위한것 먹이가 부족하면 번식을줄임 *산양 건강은뿔(무늬-나이테-조개껍질,물고기비늘같은역할)-소금성분때문-붉나무(염분소유)선호 *반달가슴곰(나무위생활 다리4개-체중분산, 호기심강함,도토리 껍질벗겨먹음,채식80% 육식20%,곰피해줄임은 등돌리면 안되고,갈던길로 오면 곰의길임,꿀도 좋아함,곰의친금감 인간(웅녀의후손)의재고. <현장 학습> *멸종위기 복원센타-지리산=반달곰(월악산-산양)-방사결과 실패(원인-등산객들의접촉:배설물에서 인간의 흔적이나오고 이빨에서 고춧가루가 나옴-야생으로 녹력하지 않고 사람한테 구걸)-복원 위해 회수 *섬진강 서시천-고라니 발자국 탁본 , 개발자국은 발톱이 있고 고양이는 발톱이없다. 너구리는 2,3번 발톱이 붙어잇고 개는 떨어져있다. 너구리 배설에서는 냄새가 안나고 수달은 비린내가난다(포유동물 씹어서 먹음)새 방광 없어 그대로 배설-독성 그대로 배출하나 동물은 방광에서 정화하여 밖으로배출 하므로 암모니아를 거름으로 사용함(발효) | |||
●소감-동식물 자연생태계의 오묘함을 생각한 하루였음 |
반달 가슴곰의 복원 사업 설명판
반달가슴곰은 왜 복원해야 하는가?-등산객들은 야생 조수 한테 그 무엇도 주지 마세요..
반돌이가 멋대로 딩구네요--반돌이는 곰하고 반달 가슴곰하고 사이에서 태어난 잡종으로 7살이래요-그리고 옆 우리에 있는 천황이는 4살 이래요 여긴 안 찍혔읍니다-
반달 가슴곰과 그 친구들
자연에서 바로 채취한 산 벚나무
곰의 배설물에서 채취한 발아된 씨앗을통한 벗나무묘종-더 왕성 하죠?-장미과는 배설물을 통해서 발아된것이 더 좋다나요...
반달 가슴곰의 동면 안내판
지네는 말이 없네요---그리고 영원히 그대로 이네요-
왜 그랬을까?-답변이 없지만 -또 다른 변화가 어떻게 전개 될 지가 ?????
계요등-닭의 오줌냄새가 난대죠???
반달 가슴곰이 올라서(상사리) 놀다보니 가지가 저리 됐네요
낭아초 -사진이 흐려서
거미가 매미를 포식하네요 -먹이 사슬의 장면-매미는 활공을 하면서 먹이를 낚아 챘는데 그사이 거미는 무엇을 연구했 을까?-수많은 세월 두고두고 전략끝에 -날지 못하니 거미줄을 개발하여 먹이를 구하는 -생존전략에서 -영원한 승자도 패자도 없는 -자연그대로 입니다 --크다고 빠르다고 전부가 아닌것 --또하나 느끼게 하네요-
갈퀴나물-또는 말굴레풀
'숲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숲과 인간 (0) | 2008.09.10 |
---|---|
곤충특징 및 서식환경- 생태공원 모니터링 (0) | 2008.09.07 |
갯벌 생태 교육 (0) | 2008.08.23 |
목본식물-무등산 원효사 (0) | 2008.08.11 |
초본식물-무등산장 (0) | 2008.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