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명 |
곤충특징 및 서식환경답사 | ||
일 시 |
2008.09.06(토)개임 |
장 소 |
강의 및 충민사계곡 답사 |
진 행 강 사 |
박해철(농업과학기술원) |
메 모 자 |
김 희 일(산꾼경산) |
교육 대상인원 |
6기전체 | ||
●교육내용*비망록으로 기억하기 위함이니 수정주시면 감사요(띄워 쓰기 어법 등 고려안함) 1.실내강의 *벌레-기어 다닌 작은 동물 총칭-어원:벌자+접미사-학술적 용어 아님. *곤충(昆蟲)-뱀의또아리모습(虫)개구리,뱀까지포함-학술적용어-머리+가슴+배+다리3쌍+날개2쌍 *곤충은 피부가-뼈로 ,인간은 내골격 곤충은 외골격 인간은 눈이 하나 곤충은 눈이 여러 개, 곁눈 시력은 약함, 홑눈-거의기능 없음, 더듬이-귀.코 역할, 음식도 좌우로 인간은 상하로 씹음, 아랫입술수염과 작은턱수염은 음식 안 흘리게, 곤충고개들고가는것- 사냥성, 밑으로 보는 메뚜기등은 먹이구함, 노린재가 먹이 구할땐 발을 세우고 이동 할 땐 발을 뒤로 �음, *곤충가슴-앞가슴(앞날개)-앞다리, 가운데가슴- 가운데 다리, 뒷가슴(뒷날개)- 뒷다리, 장구애비- 앞다리로 올챙이 사냥, 사마귀다리 가시-사냥위해, 땅강아지 발- 쇠시랑, 물방개뒷다리- 작은털이 모여 헤염, 곤충은 가슴에서 배까지 마디마다 호흡, 꼬리분야- 산란관 있음(암컷)없으면- 숫컷, 벌침은 암컷만, 바퀴벌레꼬리털- 진동 파악, 짚게벌레- 개미집어서던짐, 게아재비- 물밖으로 숨관 이용 산소 공급, 잠자리수컷- 집게 있음(짝짓기 활용),호랑나비어린애벌레- 새똥 닯음(위장) *완전탈바꿈-알-애벌레-번데기-성충 *불완전탈바꿈-알-애벌레-성충(사마귀, 매미, 노린재, 메뚜기-허물 벗음)(무변태- 길이만 달라짐, 변태-완전 달라짐), 성장3령이면-허물2번 벗기(태어나면서1령-인간과 유사),누에잠-허물벗기, 인간은 부모의 환경에서 결정되지만 곤충은 과정마다 생존전략, 허물은 하등이 많이 벗음, *곤충은 5mm정도가 중간 크기, 섬서구메뚜기는 수컷이 작다- 대부분 암컷이 큼(알 보유공간), 사슴벌레, 장수풍뎅이 숫컷이 큼(생식영역확보), 나비-발향, 색을 �춤도, 나비가배들고있는것은 숫컷 거부, 암컷- 다중교미(우수정자 확보) 마지막 정장에의해 수정, 잠자리 짝지기는 앞에것 숫컷, 반디불이저녁 이동은 숫컷임, 곤충심장-등 혈관, 혈압 높을때 허물벗기함, 작은 종은0.5mm이하도 존재, 무당벌레 피(노란 액- 헤모그로빈 없음))는 반사출혈- 팔꿈치에서, 쉬파리- 애벌레 낳음, 알을 낳는 곤충- 월동시기조절, *방어적응행동-나무 가지 처럼 다리 뻣고, 죽은체하기, 깜짝쇼(날개에 눈달고 달려듬), 화학적 방어(독소)- 무당벌레:알칼로이드(쓴맛), 청산, 가래-칸타리진(피부발진), 폭탄먼지벌레- 100도의열 나옴(과산화수소수+하이드로퀴논), 파리가 말벌 흉내, 박각시(깨벌레가 애벌레) 2강(오후)-충민사 현지답사 .꿀벌-뒷 다리 꿀바구니, 사마귀, 좀 사마귀(담랑권법), 무당거미-거미줄(방탄조끼 연구). 끝 검은 말매미충, 검은다리 실베짱이, 파리매, 밑들이 메뚜기, 고추두점박이 잠자리, 숫컷 배밑에 성기, 왕사마귀(배안 큰 알집), 암청색줄무늬밤나무애벌레, 남방 노랑나비, 두점박이 졸잠자리(암-노란색, 숫-붉은색), 물잠자리(검은색)- 약한계류 서식, 독영벌- 호박벌사촌, 바구미-던지면죽은체, 홍도알멸구, 도토리거의벌레(끊어내림), 동애등애, 긴꼬리제비나비, 유혈목이시체에 금파리, 광나무진딧물, 딱지벌레-절연체, 애기세줄나비- 첫 번째힌줄이붓모양, 나비-낮에-봉더듬이로, 나방은-밤에-털더듬이로, 줄점팔랑나비- 나비와나방중간(북한-희롱나비), 멋쟁이딱정벌레, 가시거미(힌반점), 거꾸로 여덟8나비, 호리꽃등애, 기생파리- 꼬리털불규칙), 고치애벌레, 먹그늘나비(어둔곳), 굴뚝나비(제일흔함), 나나리등애(파리유사)- 날개2개-벌은4개, 잎벌레(무당과유사), 열점박이(포도잎선호)- 냄새오줌경계, 호리병벌, 데모벌, 때죽나무재주나방애벌레, 스즈끼나날이등애(짝짓기), 쑥응애, 가시노린재, 배얼룩배주나방, 오배자면충(내부진딧물), 민달팽이짝짓기, 자벌레 (줄타고내려옴), 표범나미- 뒷날개무늬많음, 점많은무당-우리나라무당벌레 90여종, 오리나무풍뎅이- 똥크다(먹이왕성증거), 매부리- 성질사남, 더듬이긴것- 밤, 작은것-낮에, 때죽나무납작벌레집,등등....
| |||
●소감-하루에 많은 것을 배우고보니 수확도 크고 보람도 많았지만 기억상실 우려 때문에 메모로 남겨둠
|
프로그램명 |
광주호 생태공원 모니터링 | ||
일 시 |
2008.09.06(토)개임 |
장 소 |
광주호 생태공원 |
진 행 강 사 |
늘푸른 선생님과 선배님들 |
메 모 자 |
김 희 일(산꾼경산) |
교육 대상인원 |
6기일부 | ||
●교육내용 *메모로서 기억하기 위함이니 수정주시면 감사요 충민사에서 곤충 서식지 현지답사를 마치고 5시를 훨씬 넘겨서 모니터링 계획에 의하여 늘푸른 선배님을 선두로 단지 사무국장님과 2분 선배님을 선두로 6기 멤머들이 같이하여 광주호 생태공원에 도착해서 가꾸어둔 길 따라 안내를 받는데 가까우면서도 다양하게 살펴 볼 수 있어서 좋았고, 선배님들의 다뜻한 안내에 고맙고 많이 배운 늦은 오후 였습니다 .오후7시가 넘겨서까지 많은 것을 담고 마무리 하는데 시급한 귀환 때문에 수고하신 선배님들 저녁식사도 못 챙기고 마친 것에 죄송하고 미안 했습니다 . * 디카 밧데리는 잠들었죠 이름들 파악하는데 역점을 두고 적어둡니다 여기 사진 설명을 첨부해주심 고맙고 감사요......가면서 오면서 순서대로 나열해둡니다. .벌노랑이- 콩과, 돌콩(원조-열매위에뚜껑), 왕 우렁이: 알이 연한 분홍색으로 바위벽에 선보임, 미국 가막사리, 개여뀌, 뚜겅덩굴(습지따라), 반디나물, 부처꽃(분홍색), 자라풀(물위에 힌꽃)), 나도미꾸리낚시, 송이고랭이(왕골모습), 메자기, 나도겨풀, 마름(공기주머니), 왕버들, 족제비싸리, 메타세콰이어(위 가지가 빈곳을 향하여 뻣어난 생존전략 현장), 콩제비꽃, 긴호랑거미, 왕거미, 기생여뀌(분홍색찐함), 주홍서나물- 흔한나물(민들레꽃처럼), 마름열매, 알방동사니(왕골유사), 새박(꽃힌색-열매벗크기), 망초, 환삼덩굴, 물꼬챙이골(일자로세움)- 윗부분잔디씨유사, 큰고랭이(윗꽃부분이 왕골처럼3갈래로분산), 골풀, 통발(꽃-노란색)- 다른먹이취함
| |||
●소감-카메라 밧데리는 죽었죠, 날은 어두워가죠, 배울것은 많죠, 배려함에 감사하고 수고가 넘친 마무리 였습니다. |
가시노린재
고추두점박이잠자리-수컷-
고치애벌레
저승에간 유혈목이위에 금파리2마리가 조문중
끝검은 말매미충
남방노랑-암컷-
도토리 거위벌레가 속에 알낳고 나무가지를 끊어내림-평소 등산할땐 다람쥐가 먹고 내린걸로 판단했던게 오류였음
때죽나무 재주나방 애벌레
먹그늘나비-어둠침침한곳 좋아한놈
무당거미
민달팽이 짝짓기
밑들이 메뚜기
베짱이 -암컷-
스즈끼 나나리등애짝짓기
쑥응애-저속에 알이-
암청색줄무늬밤나무애벌레
열점박이 애벌레
오배자면충-집을 철갑했네요-방수튼튼-
왕사마귀-태몽은 좋았을까?
좀사마귀-담랑권법으로- 덤비지말라고-
진딧물이
짝짓기는 끝냈어도
호리병벌 -늘씬 날씬-
'숲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박의 눈물을 관찰하고 (0) | 2008.09.12 |
---|---|
숲과 인간 (0) | 2008.09.10 |
야생동물의 특징 및 서식환경 (0) | 2008.08.30 |
갯벌 생태 교육 (0) | 2008.08.23 |
목본식물-무등산 원효사 (0) | 2008.08.11 |